https://kr.trip.com/blog/hangul-day?curr=KRW&locale=ko-KR

한글날 의미와 역사, 추천 여행지까지

트래블로그 에디터 모이띵
트래블로그 에디터 모이띵
2023년9월6일

목록

  • 한글날 이란?
  • 한글날의 역사
  • 한글날 기념행사
  • 한글날에 방문하기 좋은 곳
    • 국립한글박물관
    • 광화문 광장 세종 전시관
    • 세종대왕역사문화관
    • 김해 한글박물관
    • 외솔기념관
    • 군산근대역사박물관
  • 더 보기




한글은 세계에서 인정받는 아름다운 문자로 그 가치와 위대함은 전 세계가 인정하는 문자에요.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면서 창제 원리에 대한 언어과학적 연구가 가능해진 유일한 문자에요. 훈민정음은 세계기록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는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언어이지요.


달력을 보니 2023년 한글날은 월요일이라 3일 연휴를 즐길 수 있겠더라고요. 아직 시간은 많이 있지만 3일 연휴를 어떻게 즐기면 좋을지 저와 함께 계획 세워보시는 건 어떠실까요?


한글날이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와 한글날 기념행사 정보 그리고 어떻게 하면 한글날을 더 의미있게 보낼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한글날 역사

Pixabay로부터 입수된 HeungSoon님의 이미지 입니다.




한글날은 우리나라 국경일 중 하나로 훈민정음 즉, 한글의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며 우리 글자의 독창성 및 과학성 등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기념일이에요. 한글날을 기념하여 한글을 주제로 다양한 행사들이 개최되고 여러 기업들의 브랜드명이나 영어식 표기를 한글로 바꾸는 이벤트도 있습니다. 2023년 올해의 10월 9일 한글날은 월요일으로 3일 연속으로 쉴 수 있어 한글이 기념이 될만한 여행을 계획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한글날을 처음 제정한 것은 우리가 일제강점기 시기였던 1926년 때 였어요. 조선어연구회 곧 오늘의 한글학회가 음력 9월 29일 (양력으로 11월 4일)을 가갸날이라 하고, 그 날 서울 식도원에서 처음으로 기념식을 거행했던 것이 한글날의 시초에요. 당시 한글을 ‘가갸거겨’ 하는 식으로 배울 때여서 거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한글날을 가갸날이라고 지정했다고 하네요.


그 이후 1928년에 가갸날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고, 1931년에는 음력으로 날짜 계산하는 것이 복잡하다는 한글날을 양력으로 고치기로 했어요. 그 이후 양력으로 기념식을 해오다가 광우리 나라가 광복이 되고 난 1945년, 한글날을 양력 10월 9일로 확정했어요. 당시 조선어학회에서는 상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훈민정음》 해례본 반포일로 정했고, 음력 9월 10일을 양력으로 바꾼 날이 양력 10월 9일이었거든요.


일제강점기의 한글날 기념행사는 민족주의 국어학자를 비롯한 소수 유지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졌었는데 광복이 되고난 후 1946년의 한글날은 법정공휴일로 지정하여 거국적인 기념행사를 했다고 햅니다. 비로소 한글날 행사가 전국적인 것이 되어 해마다 큰 기념식을 했다고 해요.


1946년 법정공휴일로 지정되었던 한글날은 1990년 법정공휴일에서 제외되기도 했었는데요, 1990년에 휴일이 많은 것은 산업 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경제 단체의 문제 제기가 있어 법정공휴일 축소 문제가 논의되었고, 그 해 8월 법정공휴일에서 제외되기로 하여 단순한 기념일이 되었다가 2005년 12월 29일 국회에서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2006년부터 한글날이 다시 국경일로 정해져 한글의 소중함을 알 수 있어요.




한글날

Pixabay로부터 입수된gndesign002님의 이미지 입니다.





한글날은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한글의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과 공로를 기리는 날이니만큼 멋진 기념행사들도 빠질 수 없겠죠! 한글날 기념행사는 광복 이전부터는 한글학회가 주관해오다가 1957년부터 한글학회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게 되었다고 해요. 기념식에서는 공로가 있는 분들에게 훈포장을 주며 표창과 함께 한글을 기리는 문화 공연, 전시회 같은 행사도 함께 즐길 수 있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한글날 전후로 한글주간을 지정하여 해당 주간동안 다양한 공연과 전체험, 전시 등을 진행하고 있어요. 아직까지 2023년 한글날 기념행사에 대한 자세한 일정은 나오지 않았지만 벌써부터 기대가 됩니다! 한글날 행사에 대한 정보를 기다리시는 분들이라면 한글날 누리집에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걸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한글날이라고 해서 한글 기념행사를 꼭 즐겨야하는 것은 아니에요. 공휴일을 이용해서 가족과의 시간이나 여행을 다녀오기도 좋아요. 여행하시면서 전통 문화 체험을 하거나 유적지를 방문하시면서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주소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운영 시간 10:00 – 18:00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놀이터

사진 출처 : 국립한글박물관 홈페이지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날이 제정된지 88년이 지난 2014년에 개관했어요. 우리 문화의 기초이자 그 자체인 한글과 한글문화의 가치를 국내외에 알리기 위한 공간이데요. 한글에 대한 단순한 전시를 넘어서 다양한 한글 교육 및 체험활동도 운영 중 이랍니다. 특히, 자녀들과 함께 한글에 대한 소중함을 느껴보고 싶으신 분들에겐 국립한글박물관을 방문하시는걸 추천해요! 왜냐하면 어린이들을 위한 한글놀이터가 있기 때문이에요. 신나게 놀면서 한글을 이해하고 한글로 다양한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체험전시 공간이에요. 아직 한글을 모르는 아이들이 방문하더라도 한글 자음 모음을 다양한 기술에 접목한 여러 체험을 경험할 수 있으니 아이들에게도 분명 소중한 시간이 될 수 있을거에요.



❤ 국립한글박물관 주변 추천 호텔





주소 :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이야기


광화문광장 세종대왕동상

Pixabay로부터 입수된 hgyjhj486님의 이미지 입니다.



광화문 광장에 있는 세종대왕 동상은 서울 대표적인 볼거리 중 하나로 관광명소로 손꼽히고 있지요. 높이 6.2미터에 좌상 형태로 남쪽으로 앉아계신 세종대왕의 동상은 온화한 표정으로 왼손에 훈민정음 해례본을 들고 있어요. 오른쪽으로 살짝 들고 계신데 널리 쓰도록 하라는 의미를 표현했다고 합니다.


세종대왕 동상으로 유명한 광화문 광장이지만, 동상 뒤쪽의 지하로 가면 세종 이야기 전시관이 있어 주요 업적과 창제 원리도 미디어 글라스에서 만나볼 수 있답니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세종대왕 동상을 보며 감사함과 업적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 광화문 광장 세종전시관 주변 추천 호텔





주소 : 경기 여주시 세종대왕면 왕대리 901-3

운영시간 09:00 ~ 18:00 (마감 1시간전까지 입장)

매주 월요일 휴무



세종대왕역사문화관

사진 출처 : 세종대왕유적관리소


직접 한글을 창제하신 조선 제 4대 국왕 세종대왕. 백성에 대한 사랑으로 1446년에 훈민정음이름으로 반포하셨죠. 경기도 여주에는 세종대왕릉과 세종대왕역사문화관이 위치하고 있는데요. 세종대왕께서 후손에게 남긴 훌륭한 업적들과 그 업적을 바탕이 된 애민정신을 느껴볼 수 있도록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로 꾸며져 있어요. 경기도 여주에 위치하고 있어서 당일치기 또는 1박 2일 여행지로 다녀오기 좋아요. 세종대왕의 훌륭한 업적에 대해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세종대왕역사문화관 주변 추천 호텔





주소 : 경남 김해시 분성로 221

운영시간 09:00 ~ 18:00

매주 월요일 휴무



김해 한글박물관

사진 출처 : 김해한글박물관 홈페이지


김해 한글박물관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한 전국 최초 공립 한글박물관이에요. 본관 건물과 기획전시실로 나뉘어져 힘든 일제강점기 시기에 역사와 한글을 지키기 위한 독립운동가들의 노력을 엿 볼 수 있어요. 한글 연구에 큰 발자취를 남긴 김해 출신의 한글학자 이윤재 선생과 허웅 선생의 업적, 1443년 한글 장체 이후의 한글 문화와 역사를 재조명하는 김해한글박물관. 이윤재 선생과 허웅 선생이 가진 한글에 대한 사랑을 느낄 수 있는 곳이에요. 큰 규모의 박물관은 아니지만 한글날에 방문하여 우리도 한글에 대한 사랑을 더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주소 : 울산 중구 병영12길 15

운영시간 09:00 ~ 18:00

매주 월요일 휴무



외솔기념관


외솔기념관은 평생 한글을 지킨 외솔 최현배 선생의 저서와 유품 등이 전시된 기념관이에요. 최현배 선생님은 한글학자 겸 독립운동가로 일제 강점기에 계레의 얼인 말과 글을 지킨 독립운동가로, 한글 보급과 기계화 정보를 위해 평상 한 길을 걸은 한글각자이며, 페스탈로치의 이상적 교육론을 직접적으로 실현한 교육자로 평가받고 있어요.


외솔기념관은 2001년 외솔 최현배 생가터가 시지정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2008년 외솔기념관 및 생가터 건립에 착공해 2010년에 개관하였어요. 외솔 기념관은 현재 현충시설과 제 1종 전문박물관으로 지정 및 등록이 되어 있어요. 외솔 출


외솔기념관 바로 위에 생가기념관이 있어 최현배 선생의 삶을 더 깊게 느껴볼 수 있어요. 또, 외솔기념관 옆으로 한옥 도서관도 있으니 한글을 느껴보기 좋은 복합문화공간이랍니다.




주소 : 전북 군산시 해망로 240

운영시간 09:00 ~ 18:00

매주 월요일 후무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사진 출처 : 군산근대역사박물관 홈페이지


군산에는 각종 박물관과 함께 일본인 가옥 등 우리나라 과거를 들여다볼 수 있는 관광명소들이 많이 있는데 그 중에서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은 군산의 근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곳이에요. 1층 해양물류 역사관에서는 일제강점기 이전, 물류 유통의 중심지였던 군산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고, 2층 근대생활관은 잔혹한 식민 지배에도 꿋꿋하게 살아왔던 군산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줘요. 그 시절의 상점, 창고, 학교 등을 재현한 모형을 통해 ‘읽는’역사가 아닌 ‘체험하는’ 역사를 제공해요. 독립운동관에는 수 많은 독립운동가들의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어 숙연한 마음이 드는 전시실이에요.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존경심과 감사함을 잊지 말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는 순간이랍니다.



1mj1b12000c2qnmt5C059.png

Contact Center <br>of the year 2024
Contact Center
of the yea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