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r.trip.com/blog/easter-korea

부활절 2025 | 부활절에 뭐먹고 어디가야하냐구요? 부활절 명소&부활절 의미&부활절 음식

jessikim
jessikim
2025년 4월 8일

목록

  • 부활절 2025 | 포인트 한눈에 정리📌
  • 부활절 2025 | 부활절의 역사적 의미와 전통 음식
    • 부활절 2025 의미 | 역사적 배경
    • 부활절 2025 의미 | 먹거리와 부활절 음식
  • 부활절 2025 | 부활절의 상징과 축하 행사
    • 부활절의 주요 상징
    • 부활절 축하 행사
  • 부활절 2025 | 부활절에 가볼만한 한국 명소
    • 한국 명소2025 부활절 퍼레이드
    • 한국 명소 여의도 순복음교회 부활절 연합 예배
    • 한국 명소 인천 제물포구 선교사 유적지 탐방
    • 한국 명소 부활절 기념 제주도 성지 순례 여행
  • 더 보기

부활절 2025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2025년 부활절은 4월 20일로, 한국에서도 부활절을 맞아 다양한 부활절 행사가 열리며, 특히 부활절 퍼레이드와 교회 연합 예배는 많은 이들이 함께 모여 부활의 기쁨을 나누는 시간입니다.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부활절 음식과 부활절 행사들 즐겨보세요!



부활절

부활절 2025이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기독교 최대 절기로, 새로운 생명과 구원의 희망을 상징
부활절 2025 날짜 계산법: 춘분(3월 21일) 이후 첫 보름달 다음 일요일로, 2025년에는 4월 20일입니다.
부활절 2025 상징물: 달걀은 부활과 새 생명을, 토끼는 풍요와 번식을 상징하여 부활절의 기쁨을 표현합니다.
부활절 2025 주요 풍습:부활절 새벽 예배, 달걀 꾸미기, 달걀 찾기 게임 등 다양한 전통 행사로 기념합니다.

부활절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신 후 사흘 만에 부활하신 것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축일 중 하나입니다. 이 사건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 예수님의 부활은 죄와 죽음을 이기고 인류에게 구원의 길을 열어주셨음을 상징합니다. ​


초기 기독교인들은 유대교의 유월절과 시기를 맞추어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였습니다. 그러나 니케아 공의회(서기 325년) 이후, 춘분 후 첫 만월 다음 첫 일요일을 부활절로 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부활절 날짜는 매년 변동되며, 2025년 부활절은 4월 20일입니다. ​


부활절에는 각 나라와 문화마다 다양한 전통 음식이 있습니다. 그 중 몇 가지를 소개해드리면서 의미까지 소개해드릴게요!

1. 부활절 달걀

부활절 달걀

부활절을 맞아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식 중 하나가 바로 달걀입니다. 달걀은 기독교에서 새로운 생명과 부활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부활절 전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독교 신앙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 인류에게 새로운 생명과 구원이 주어졌다고 믿습니다. 달걀의 둥근 모양과 속에서 깨어나오는 생명은 이 부활의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부활절에 달걀을 먹고 나누는 풍습이 자리 잡았습니다. 부활절 달걀 음식중, 특히 달걀 계란으로 만든 계란찜, 계란국, 구운 계란 등이 달걀로 만든 대표적인 부활절 음식 먹거리입니다.


2. 양고기 요리


부활절 음식

부활절이 다가오면 많은 기독교 가정의 식탁에 빠지지 않는 음식 중 하나가 바로 양고기 요리입니다. 양고기가 부활절 식탁에 자주 오르는 이유는 기독교 신앙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양고기는 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어린 양'으로 비유하는 데서 유래합니다. 예수님은 인류의 죄를 대신하여 희생된 순결한 어린 양으로 묘사되며, 이는 구약 성경에서 제물로 바쳐진 양과도 연결됩니다. 이처럼 양고기는 예수님의 희생과 구원을 상징하기 때문에, 부활절 식탁에 올리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속죄를 기념합니다.


3. 핫 크로스 번


부활절 음식

영국을 비롯한 유럽 여러 지역에서는 부활절을 맞아 특별한 전통 음식인 핫 크로스 번을 즐겨 먹습니다. 핫 크로스 번은 달콤하고 부드러운 빵으로, 건포도와 향신료가 들어가 있어 고소하고 달콤한 맛이 특징입니다. 겉면에는 하얀 십자가 모양의 장식이 뚜렷하게 새겨져 있는데, 이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희생을 상징합니다.

핫 크로스 번은 주로 성 금요일에 먹는 전통이 있으며, 부활절 기간 동안 빵집과 가정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빵 속에 들어가는 건포도와 향신료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의 고난을 떠올리게 하며, 달콤한 맛은 부활의 기쁨을 나타냅니다. 핫 크로스 번을 즐기는 방식도 다양한데요, 보통은 따뜻하게 데워 버터를 발라 먹거나, 커피나 홍차와 함께 곁들여 즐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지역에서는 이를 구워 바삭한 식감으로 즐기기도 하며, 신선한 과일이나 잼을 곁들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활절 토끼

1.부활절 달걀

달걀은 새 생명과 부활을 상징합니다. 고대 이집트, 그리스, 페르시아 등 여러 문화에서는 봄 축제 때 달걀을 여러 색으로 물들이고 교환하는 전통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풍습이 기독교에 접목되어 예수님의 부활과 새로운 생명을 상징하게 되었습니다. ​


2.부활절 토끼

토끼는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특히 부활절 토끼는 부활절 달걀을 어린이들에게 가져다주는 존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전통은 16세기 독일에서 시작되어 이후 전 세계로 퍼졌습니다. ​


3.부활절 양

양은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어린 양'으로 비유하며, 그의 희생과 구원을 상징합니다. 부활절에는 양고기를 먹는 전통이 있으며, 이는 예수님의 희생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달걀 꾸미기와 사냥

부활절 전날이나 당일에 가족들이 모여 달걀을 다양한 색으로 물들이고 장식합니다. 이후 아이들은 정원이나 공원에서 숨겨진 달걀을 찾는 '이스터 에그 헌트'를 즐깁니다. 이러한 전통은 특히 서구 문화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가족 단위의 활동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


2.부활절 퍼레이드

뉴욕 등 일부 도시에서는 부활절을 기념하는 퍼레이드가 열립니다. 참가자들은 화려한 의상과 모자를 착용하고 거리를 행진하며, 부활의 기쁨을 나눕니다. ​


3.부활절 촛불 예배

일부 교회에서는 부활절 전야에 촛불을 켜고 예배를 드리며,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합니다. 이러한 예배는 어둠에서 빛으로 나아가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부활절 2025를 맞아,가족 친구들과 함께 가볼만한 한국의 부활절 관련 행사와 여행지를 소개해드릴게요. 소중한 분들과 함께 부활의 기쁨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부활절 2025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부활절 퍼레이드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한국 선교 140주년을 기념하며, 다양한 퍼포먼스와 행진이 펼쳐집니다.​

일시: 2025년 4월 19일(토) 10:00 ~ 20:00​
장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2, 광화문 광장 일대​
프로그램 소개:

-상설행사: 10:00 ~ 18:30​

-PRE-STAGE 퍼포먼스: 13:00 ~ 14:30​

-개막식: 15:20 ~ 16:00​

-주제 퍼레이드: 16:00 ~ 17:30​

-기념음악회: 18:30 ~ 20:00​

입장료: 무료​
홈페이지: https://www.k-easter.com/

여의도 순복음교회에서 열리는 부활절 연합 예배로, 다양한 찬양과 말씀을 통해 부활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입니다.​

일시: 2025년 미정
장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순복음길 21​
입장료: 무료​
홈페이지: https://www.fgtv.com/

한국 선교 140주년을 기념하여,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선교사가 처음 도착한 인천 제물포구의 선교사 유적지를 탐방해보세요.​

일시: 상시 운영​
장소: 인천광역시 중구 제물량로 232번길 일대​
입장료: 무료​
문의처: 인천 중구청 문화관광과 (032-760-7114)​


제주도에 위치한 기독교 성지를 방문하며 부활절의 의미를 되새기는 여행을 계획해보세요. 성 이시돌 목장, 제주 성안교회 등 다양한 장소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일시: 자유 일정​
장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1126 (성 이시돌 목장)​
입장료: 무료 (일부 장소는 입장료가 있을 수 있음)​
문의처: 제주관광공사 (064-740-6000)​

Contact Center <br>of the year 2024
Contact Center
of the yea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