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r.trip.com/blog/may-domestic-trip

2025 5월연휴국내여행 | 연차하루내면 6일휴가 5월연휴 여행지BEST7! 예산표와 교통편까지 다 정리했다!

jessikim
jessikim
2025년 4월 27일

목록

  • 5월황금연휴2025| 5월 연휴
    • 5월황금연휴2025 | 5월 연휴 날짜
    • 5월황금연휴2025 | 5월 연휴 꿀팁 (5월2일 공휴일인가요?)
  • 5월연휴국내여행2025 | 국내 여행지 추천
    • 국내 여행지 추천 | 서울
    • 국내 여행지 추천 | 부산
    • 국내 여행지 추천 | 제주
    • 국내 여행지 추천 | 경주
    • 국내 여행지 추천 | 강릉
    • 국내 여행지 추천 | 여수
    • 국내 여행지 추천 | 수원
  • 더 보기

5월 연휴가 다가오는데 어디 가실지 아직 못정하셨나요? 이미 코앞이라 해외여행은 힘들지만 국내여행은 도전해볼만 합니다! 황금연휴 집에만 방콕하시지 마시코, 국내여행 재밌게 즐겨보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여행지 7곳 소개와 예산표, 교통편을 꼼꼼히 조사해왔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5월 연휴 즐겨보시죠!


날짜 요일 공휴일 비고
2025-05-01 근로자의 유급휴일 (법정공휴일 아님)
2025-05-02 X 정부 지정 시 가능성 있음
2025-05-03 주말
2025-05-04 주말
2025-05-05 어린이날 & 부처님오신날 공휴일이 겹침
2025-05-06 대체공휴일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

2025년 5월 황금연휴를 앞두고 많은 분들이 기대했던 5월 2일(금요일) 임시공휴일 지정은 결국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미 6월 3일 조기 대통령 선거일이 임시공휴일로 확정되어 있는 만큼, 연달아 공휴일을 지정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로 인해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아쉬움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완전히 희망이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5월 2일에 연차를 사용할 있다면, 5월 1일부터 5월 6일까지 총 6일간의 연휴를 즐길 있습니다.미리 계획을 세우고 연차를 활용해보세요!


연차 사용 연휴 기간 휴일 비고
없음 5월 3일(토) ~ 5월 6일(화) 4일 주말 + 공휴일 + 대체공휴일
5월 2일(금) 5월 1일(목) ~ 5월 6일(화) 6일 근로자의 날 + 연차 + 주말 + 공휴일


5월의 서울은 화창한 햇살 아래에서 다양한 매력을 뽐내는 도시입니다. 역사와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곳, 세련된 트렌드와 전통이 공존하는 곳, 바로 서울이죠.경복궁이나 창덕궁 같은 고궁을 산책하면 왕조의 숨결을 느낄 수 있고, 북촌 한옥마을이나 서촌 골목길을 거닐다 보면 옛 서울의 정취가 고스란히 전해져 옵니다. 쇼핑과 트렌드를 좋아한다면 강남, 압구정, 홍대 거리를 돌아보는 것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개성 넘치는 편집숍과 감각적인 카페, 그리고 다양한 문화 공간들이 여행의 재미를 더해줍니다.


특히 최근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성수동은 감각적인 카페와 전시 공간이 많아, 하루 종일 머물러도 지루하지 않아요. 짧은 일정이라도 다양한 테마로 일정을 있고, 대중교통이 되어 있어 이동도 매우 편리한 점이 서울 여행의 가장 장점입니다.

서울 예산표

항목 예상비용
호텔 100,000원 ~ 200,000원 (3성급 호텔 기준, 2인 1실)
식비 1일 30,000원 ~ 50,000원 (간편식/맛집 기준)
관광지 입장료 10,000원 ~ 20,000원 (고궁 통합권 등)
교통비 10,000원 ~ 15,000원 (지하철, 버스 이용)
기타 비용 50,000원 ~ 100,000원 (카페, 쇼핑 등)

서울 교통편 안내

서울은 전국 어디에서든 접근이 매우 좋은 도시입니다.
KTX, SRT, 고속버스, 시외버스 모두 서울을 연결하고 있으며,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수서역, 고속버스터미널 주요 거점이 많아 이동이 매우 편리합니다.
도착 후에는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하면 거의 모든 관광지까지 쉽게 접근할 있어, 렌터카 없이도 충분히 편안한 여행을 즐길 있습니다.


5월의 부산은 눈부신 햇살과 시원한 바닷바람이 어우러지는, 그야말로 최고의 여행지입니다.
푸른 바다, 활기찬 도시 분위기, 그리고 따뜻한 남쪽 지방 특유의 여유로움까지 느낄 있어 짧은 연휴 동안 떠나기 좋은 곳이죠.부산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은 역시 해운대입니다.
5월의 해운대는 여름 피서철처럼 붐비지는 않으면서도, 햇살 아래 반짝이는 바다를 바라보며 산책하기에 정말 좋습니다.
해운대 해수욕장을 따라 이어지는 산책로를 걷거나, 더 베이 101에서 요트 선착장 야경을 감상하면 부산의 낭만을 제대로 느낄 있어요.

광안리 해변도 빼놓을 없습니다.
광안대교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야경은 부산을 대표하는 포인트 하나입니다.
부산 예산표


항목 예상비용
호텔 80,000원 ~ 180,000원 (해운대, 서면 3성급 기준, 2인 1실)
식비 1일 30,000원 ~ 50,000원 (시장/맛집/카페 기준)
관광지 입장료 무료 ~ 10,000원 (감천문화마을, 전망대 등)
교통비 10,000원 ~ 20,000원 (지하철, 버스 이용)
기타 비용 50,000원 ~ 100,000원 (카페, 소품 쇼핑 등)

부산 교통편

교통수단 소요 시간 출발지 → 도착지 예상 요금 (편도)
KTX 약 2시간 17분 ~ 3시간 22분 서울역 → 부산역 약 59,800원 ~ 64,146원
SRT 약 2시간 35분 수서역 → 부산역 약 51,437원 ~ 81,948원
고속버스 약 4시간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약 26,000원 ~ 47,000원
항공편 약 1시간 15분 김포공항 → 김해공항 약 22,349원 ~ 133,431원


5월의 제주는 그대로 ‘초록과 파랑의 계절’입니다.
봄꽃이 지나간 들판은 초록으로 짙어지고, 바다는 여름을 준비하듯 더욱 푸르고 투명해집니다.
특히 황금연휴 기간 동안 복잡한 도심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힐링하고 싶다면 제주만큼 완벽한 곳은 없습니다.

제주에서는 무엇보다 자연을 가까이에서 느낄 있다는 점이 가장 매력이에요.
한라산 자락을 따라 이어진 오름 트레킹은, 어렵지 않은 코스로 누구나 봄바람을 맞으며 걸을 있어요.
용눈이오름, 새별오름 같은 오름들은 5월 햇살 속에 초록빛으로 반짝이며 부르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바다를 좋아하는 분이라면 성산일출봉과 섭지코지 쪽을 추천해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성산일출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동쪽 바다의 풍경은, 정말로 가슴이 뚫리는 기분을 선사합니다.
섭지코지는 영화 같은 풍경을 자랑하는 산책로로, 푸른 바다를 끼고 천천히 걷기에 제격이에요.


제주 예산표

항목 예상비용
호텔 100,000원 ~ 200,000원 (중급 호텔, 게스트하우스 기준 1박)
식비 1일 30,000원 ~ 50,000원 (향토 음식, 카페 포함)
관광지 입장료 10,000원 ~ 30,000원 (성산일출봉, 박물관 등)
렌터카 비용 2일 약 100,000원 ~ 150,000원 (경차 기준)
기타 비용 50,000원 ~ 100,000원 (카페, 기념품, 입장료 추가 등)

제주 교통편

교통수단 소요 시간 출발지 → 도착지 예상 요금 (편도)
항공편 약 1시간 김포공항 → 제주공항 70,000원 ~ 200,000원 (시기별 상이)


5월의 경주는 천년 고도의 숨결이 봄바람을 타고 흐르는, 아주 특별한 곳입니다.

경주에서 들러야 번째 장소는 바로 대릉원입니다.
푸른 언덕처럼 이어지는 거대한 고분들이 한가롭게 펼쳐져 있는데, 5월의 따뜻한 햇살 아래 걷다 보면 고요한 역사 속을 거니는 듯한 기분을 느낄 있어요.

바로 옆에는 첨성대가 있습니다.신라의 천문 관측소였던 첨성대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 하나로, 낮에도 아름답지만 해가 조명이 켜진 야경은 정말 환상적입니다.
경주 예산표

항목 예상비용
호텔 80,000원 ~ 150,000원 (한옥스테이, 중급 호텔 기준)
식비 1일 25,000원 ~ 40,000원 (향토음식, 카페 포함)
관광지 입장료 10,000원 ~ 20,000원 (대릉원, 동궁과 월지, 불국사 등)
교통비 10,000원 ~ 15,000원 (시내버스, 택시 이용)
기타 비용 50,000원 ~ 100,000원 (카페, 기념품 등)

경주 교통편

교통수단 소요 시간 출발지 → 도착지 예상 요금 (편도)
KTX 약 2시간 서울역 → 신경주역 약 47,100원 ~ 53,300원
고속버스 약 3시간 40분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약 20,000원 ~ 25,000원


가장 먼저 추천하고 싶은 곳은 경포대입니다.잔잔한 파도 소리를 들으며 경포호를 따라 산책하거나, 경포대 누각에 올라 동해바다를 바라보는 순간, 이곳이 조선시대부터 사랑받아온 명소인지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됩니다.

조금 여유롭게 바다를 즐기고 싶다면 안목해변을 추천해요.
'안목 커피거리'로 유명한 이곳은 바다를 바라보며 커피 한잔을 즐길 있는, 강릉만의 감성이 가득한 장소입니다.
따스한 햇살 아래 야외 테이블에 앉아, 바다를 바라보며 여유를 즐기는 것은 강릉 여행에서 해봐야 경험 하나입니다.

강릉 예산표

항목 예상비용
호텔 70,000원 ~ 150,000원 (해변 근처 중급 호텔, 게스트하우스 기준)
식비 1일 25,000원 ~ 40,000원 (회, 해산물, 카페 포함)
관광지 입장료 대부분 무료 (경포대, 해변 산책 등)
교통비 10,000원 ~ 15,000원 (시내버스, 택시 이용)
기타 비용 50,000원 ~ 100,000원 (커피거리, 기념품 등)

강릉 교통편

교통수단 소요 시간 출발지 → 도착지 예상 요금 (편도)
KTX 약 1시간 50분 서울역 또는 청량리역 → 강릉역 약 27,600원 ~ 31,300원
고속버스 약 2시간 30분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강릉고속버스터미널 약 16,400원 ~ 19,300원



여수에 가면 가장 먼저 추천하고 싶은 곳은 여수 해상 케이블카입니다.
오동도와 돌산대교를 잇는 케이블카를 타고 하늘 위에서 바다를 내려다보는 경험은 정말 특별합니다.
특히 해가 무렵, 붉게 물든 하늘과 바다가 어우러지는 풍경은 여수 여행의 백미라고 있어요.

오동도는 다른 여수의 매력 포인트입니다.
전체가 동백나무로 뒤덮여 있는데, 5월에는 신록이 풍성해 산책하기에 좋은 계절입니다.
오동도 산책로를 따라 천천히 걷다 보면, 잔잔한 파도 소리와 싱그러운 바람이 마음을 편안하게 해줍니다.


여수 예산표

항목 예상비용
호텔 80,000원 ~ 150,000원 (여수 해변 근처 호텔, 게스트하우스 기준)
식비 1일 30,000원 ~ 50,000원 (해산물, 로컬 맛집 포함)
관광지 입장료 10,000원 ~ 20,000원 (해상케이블카, 오동도 등)
교통비 10,000원 ~ 15,000원 (시내버스, 택시 이용)
기타 비용 50,000원 ~ 100,000원 (카페, 기념품, 추가 체험비 등)

여수 교통편

교통수단 소요 시간 출발지 → 도착지 예상 요금 (편도)
KTX 약 2시간 50분 용산역 → 여수엑스포역 약 47,100원 ~ 52,000원
고속버스 약 4시간 30분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여수종합버스터미널 약 28,400원 ~ 32,400원

서울에서 가까우면서도 특별한 하루를 보낼 있는 곳, 바로 수원입니다.
수원은 단순한 위성도시가 아니라, 조선시대의 숨결이 살아 쉬는 역사의 도시이자, 현대적 감성까지 품은 매력적인 여행지예요. 수원 여행의 중심은 단연 수원화성입니다.
정조대왕이 아버지 사도세자의 뜻을 기리기 위해 축성한 화성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을 만큼 역사적 가치가 뛰어납니다.

수원의 다른 매력은 행궁동입니다.
수원화성 바로 옆에 자리한 이곳은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룬 핫플레이스로, 아기자기한 감성 카페, 갤러리, 수공예샵들이 가득합니다.


수원 예산표

항목 예상비용
호텔 70,000원 ~ 130,000원 (시내 호텔, 게스트하우스 기준)
식비 1일 20,000원 ~ 40,000원 (통닭거리, 카페 포함)
관광지 입장료 3,000원 ~ 8,000원 (수원화성, 행궁 입장료)
교통비 5,000원 ~ 10,000원 (지하철, 시내버스)
기타 비용 50,000원 ~ 100,000원 (카페, 기념품 등)

수원 교통편

교통수단 소요 시간 출발지 → 도착지 예상 요금 (편도)
지하철 1호선 약 1시간 서울역 → 수원역 약 1,350원
수도권 광역버스 약 50분 서울 주요 지역 → 수원 시내 약 2,500원 ~ 3,000원
자가용 약 40~50분 서울 → 수원 (경부고속도로 이용) 톨게이트 비용 약 2,000원

Contact Center <br>of the year 2024
Contact Center
of the yea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