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r.trip.com/blog/dano-foods

2025 단오절 음식 총정리|수리취떡부터 앵두화채, 약과까지 선조들도 알았던 단오음식들의 효능

jessikim
jessikim
2025년 5월 20일

목록

  • 2025 단오절 | 단오절 날짜
  • 2025 단오절 | 단오절 유래
  • 2025 단오절 | 단오절 음식
    • 단오절 음식 | 수리취떡
    • 단오절 음식 | 앵두화채
    • 단오절 음식 | 제호탕
    • 단오절 음식 | 쑥떡
    • 단오절 음식 | 약과
  • 더 보기

5월 31일, 2025 단오절이 성큼 다가왔어요. 강릉단오제를 비롯해 전국 곳곳에서 축제가 열리며 단오의 멋을 더하고 있는데요, 이 시기엔 꼭 챙겨 먹어야 할 특별한 음식들도 빠질 수 없죠. 수리취떡과 쑥떡, 제호탕, 앵두화채, 그리고 약과까지—전통의 지혜가 담긴 단오절 대표 음식들을 함께 알아보아요.

2025 단오절

2025년 단오절은 5월 31일 토요일입니다.

양력으로는 매년 5월 말에서 6월 초 사이에 해당하며, 음력 5월 5일에 맞춰 열립니다. 한국에서는 큰 명절로 간주되진 않지만, 전통문화와 지역축제를 통해 그 의미를 이어가고 있어요.


특히 올해는 주말과 겹쳐 전국 각지에서 풍성한 단오 행사가 예정되어 있어 가족 단위 나들이객들도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단오절

단오절은 음력 5월 5일, 해가 가장 양기를 많이 품고 있다는 날로, 예로부터 질병을 막고 액운을 쫓는 날로 여겨졌습니다.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 명절로,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수리취떡을 만들어 먹으며, 그네뛰기, 씨름, 단오 부채 만들기 같은 놀이로 더위를 이겨내고 건강을 기원했습니다.


특히 강릉단오제처럼 지역 고유의 제례 문화와 민속놀이가 함께 어우러진 전통 축제가 국가무형문화재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며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음식명 종류 주요 재료 특징 효능
수리취떡 전통 수리취, 찹쌀가루, 팥소 초록빛 쫀득한 떡, 잡귀를 쫓고 몸을 따뜻하게
앵두화채 전통 음료 앵두, 꿀(또는 설탕), 얼음 새콤달콤한 여름 디저트, 갈증 해소와 기력 보충
제호탕 한방 음료 진피, 감초, 백출, 생강, 박하 궁중 해독탕, 속을 편안하게 하고 열을 내려줌
쑥떡 전통 생쑥 또는 말린 쑥, 찹쌀가루 쫀득하고 은은한 향, 나쁜 기운을 몰아낸다는 전통적 의미
약과 전통 과자 밀가루, 꿀, 참기름, 술 기름에 튀겨 꿀에 재운 과자, 보양과 건강의 상징
수리취떡

수리취떡은 단오절을 대표하는 전통 떡이에요. ‘수리취’라는 산에서 자라는 풀을 쪄서 찹쌀가루에 섞고, 그 안에 고소한 팥소를 넣어 만든 떡이죠.

수리취는 향이 좋고 몸을 따뜻하게 해줘서 예로부터 단오날에 먹으면 잡귀를 쫓고 건강을 지켜준다고 믿었습니다. 초록빛 색감이 싱그럽고, 쫀득한 식감에 은은한 쑥향이 더해져 입맛을 돋우는 계절별미랍니다. 요즘은 백화점이나 전통시장, 단오제 행사장에서 쉽게 만나볼 수 있어요.


앵두화채

앵두화채는 여름이 시작될 무렵 먹기 좋은 전통 음료 겸 디저트입니다.

시큼달콤한 앵두를 껍질째 사용하고, 꿀이나 설탕, 냉수를 부어 얼음과 함께 먹는 방식이에요. 요즘은 수박, 배, 오미자 등을 함께 넣기도 합니다.

옛날엔 더운 날 기력을 보충하고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마셨고, 특히 여성들의 여름철 보양 음료로 사랑받았다고 해요. 단오날엔 한 상 가득 담긴 앵두화채가 눈도 입도 즐겁게 해주는 풍경이 전통을 이어줍니다.


제호탕

제호탕은 다섯 가지 약재를 끓여 만든 궁중 해독탕으로, 단오를 전후해 무더위로 지치기 쉬운 시기에 마시는 전통 음료입니다.

주로 진피, 감초, 백출, 생강, 박하 등을 넣어 끓이고 꿀을 타서 마시는데, 속을 편안하게 하고 열을 내려주는 효능이 있어요.

예전엔 궁중이나 양반가에서 여름철 건강관리를 위해 즐겨 마셨고, 지금도 한방차 카페나 전통차 전문점에서 계절 한정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쑥떡

쑥떡은 단오절에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전통 떡이에요. 초봄에 채취한 쑥을 말려두거나 생쑥을 그대로 사용해 찹쌀가루와 함께 반죽해 만든 떡으로, 단오에는 쑥으로 몸속 나쁜 기운을 몰아낸다는 믿음이 있었어요.

쫀득한 식감과 은은한 쑥 향, 여기에 고물이나 팥소를 넣어 풍미를 더하면 누구나 좋아할 수 있는 전통 간식이 됩니다.

지금도 전통시장이나 떡 공방, 지역 단오 행사장에서 쑥떡을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 프로그램이 많이 운영되고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인기예요.


약과

약과는 단오절을 비롯해 설, 추석 등 전통 명절에 자주 등장하는 한국 전통 과자입니다. 밀가루 반죽을 꿀과 참기름, 술로 숙성시킨 후 기름에 튀기고 꿀이나 조청에 재운 뒤 말려내는데, 고소하면서도 달콤한 맛이 매력 포인트죠.

단오절에는 보양과 건강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차와 함께 내기도 하고, 손님 접대나 선물용으로도 많이 활용됩니다.특히 최근엔 SNS를 중심으로 미니 약과, 캐릭터 약과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젊은 세대에게도 새롭게 주목받고 있어요.


Contact Center <br>of the year 2024
Contact Center
of the yea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