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금산군 인삼관 입니다.
충청남도 금산군 인삼관 입니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의 개념이란?
국가 중요 농업 유산 이란 농업자원 중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여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정한 농업유산을 말한다. (농업유산 지정 관리 기준, 농림축산식품부 고시 제 2015-143호)
국가중요농업유산 5호 금산인삼농업 금산은 인삼 재배•가공 및 유통의 중심지로, 인삼의 논 재배기술과 금산곡삼 등 인삼가공기술과 관련 산업이 가장 발달한 지역으로 인정받아 금산 인삼 농업이 국가 중요 농업 유산 5호로 지정 되었다.
금산인삼농업의 가치 다양한 인삼 재배기술을 확립하였으며, 가공기술의 발달로 국내 인삼산업을 이끌고 있으며, 70%가 유통 되고 있다. 금산의 인삼밭은 금강을 비롯한 주변 하천의 아름다운 산세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금산인삼농업의 역사성 1923년에 금산삼업조합이 설립된 것으로 미루어, 19세기부터 이미 인삼이 널리 재배 되었음을 알 수 있고, 조합은 곡삼의 품질 및 유통을 관리함으로써 금산 인삼의 명성을 유지 하는데 기여 하였다.
금산인삼농업의 대표성
• 우리나라 인삼의 재배. 가공 및 유통의 대표지역으로 인삼산업이 가장 발달한 곳이다.
• 생삼을 구부려 만든 백삼이 "금산 곡삼"으로 전국에 유통 되었으며, 연작피해 방지와 다수확 재배를 위한 논재배 및 직파 재배 등 다양한 인삼재배 기술이 발달 하였다.
• 인삼농사와 관련한 생활 문화가 전 승되며, 인삼 축제와 금산 세계인삼 엑스포 등을 통하여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기여 하였다.
생육환경에 따른 구분 재배
삼 : 인삼 반에서 재배한 인삼이다.
산삼 : 자연상태에서 자생한 삼이다.
산양삼 : 자연상태의 산림 속에서 재배한 인삼이다.
가공유형에 따른 구분
생삼 : 수학한 그대로 말리지 아니한 인삼이다.
백삼 : 생삼을 햇볕. 열풍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익히지 아니하고 말린 것으로서 원형 백삼. 직삼, 곡삼, 반곡, 피부직, 피부곡산, 피부반곡삼, 백미삼, 기타 형태의 백삼.기타 백삼류(절삼. 절편, 중절, 세절, 파쇄)가 있다.
태극 : 생삼을 물로 익히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익혀서 말린 것으로서 원형태극삼, 태극직삼. 태극미삼. 기타 형태의 태극상, 기타 태극류(절. 절편. 중정, 세절. 파세가 있다.
홍삼 : 생을 증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으로서 원형홍삼, 홍삼직삼, 홍미삼. 기타 형태의 홍삼, 기타 홍삼류(절삼, 절편, 중절, 세절. 파쇄)가 있다.
흑삼 : 생삼을 중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리는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한 것으로서 원형흑삼, 흑삼직, 흑미삼, 기타 형태의 흑삼, 기타 흑삼류(전삼, 절편, 중절, 세정, 파쇄)가 있다.
진세노사이드
인삼의 주된 약리 성분으로 알려진 인삼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 (einsenoside)라 부르는데,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 다른 독특한 화학구조를 가지며, 그 효능도 매우 상이 하다. 지금 까지 38종의 인삼사포닌 화학구조가 밝혀 졌다.
세계 인삼 생산량은 2013년 기준 약 8만 톤이며 주요 4개국(중국, 한국, 캐나다, 미국)의 생산량이 전 세계 인삼 총 생산량의 95%를 차지 한다.
중국의 생산량이 44.749톤으로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이 24,480톤으로 그 다음으로 나타난다. 한국의 생산량은 중국에 비해 2위이나 가공품 규모는 세계 1위 이다.
약초는 보완대체의 의약산업이자 새로운 생물자원의 보고로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인삼의 명산지인 금산은 주요 약초 재배지역의 하나이기도 하다.
같은 밭에 연이어 심을 수 없는 인삼의 특성상 대신 심을 작물로 당귀, 도라지, 황기 등 약초가 선호되었기 때문 이다. 금산은 일교차가 커 고품질의 약초가 생산 되며 가공 등 관련 산업이 발달해 있고 전국적인 규모의 약령시가 있어 유통이 편리 하기에 계속 거래량이 증가 되고 있다.
동양의 약초 약용으로 사용되는 식물로는 대한약전에 수록되어 있는 것만 395종이고, 우리나라에서 자생되고 생약의 기원식물로 950종으로 보고 되고,약용 작물로 재배되는 약초는 50여종이 있다. 그중 해발이 높고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약초를 고랭지 약초라 하는데 당귀, 천궁, 고본 강활, 백지, 방풍, 백출, 오미자, 전마, 사삼 등 12종이 있다.
서양에서 약초는 이 독특한 향의 살균, 소독효과에 의해 원시 시대부터 생선 등의 장기간 보존 또는 전염병의 예방, 미라의 방부제 등으로 이용되어 왔다. 허브의 종류는 수백 수천종 이다.
#국내여행 #여행계획 #2월여행지원금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