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r.trip.com/blog/major-tourist-destinations-in-andong

안동 여행 가볼만한 곳, 한옥 숙소 추천

트래블로그 에디터 잰잉
트래블로그 에디터 잰잉
2023년 5월 9일

목록

  • 01 도산서원
    •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서당을 짓고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
  • 02 안동 하회마을
    • 풍산류씨의 600여년간 이어온 동성촌락 유네스코지정 세계유산 전통마을
  • 03 선유줄불놀이
    • 해마다 음력 7월 16일 한여름 밤 하회의 선비들이 즐기던 불꽃놀이
  • 03 월영교
    • 부부의 애절한 사랑을 기억하는 기념의 다리
    • 황포돛배체험, 문보트체험
  • 04 만휴정
    • 미스터 선샤인의 바로 그 곳
  • 05 찜닭 골목
    • 안동을 대표하는 안동 찜닭의 원조를 맛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골목
  • 안동 숙소
    • 01 서소한가
    • 02 낙원우드
    • 03 율시헌
    • 04 동림하녹
    • 05 다온한옥스테이
  • 더 보기


도산서원은 조선 선조 7년 그의 학덕을 추모하는 문인과 유생들이 상덕사란 사당을 짓고 전교당 동•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했으며, 영남지방 유학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도산서원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1574년(선조 7)에 지어진 서원으로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서원의 건축물들은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졌으며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를 잘 반영하고 있. 도산서원은 건축물 구성면으로 볼 때 크게 도산서당과 이를 아우르는 도산서원으로 구분됩니다.


1mj3012000b6ld7uh5269.png

1mj2q12000b6ldrb57A77.png





안동 하회마을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유교문화가 살아 숨쉬고 있는 상징공간으로 손꼽히는 곳으로써 가장 한국적이며 독창적인 문화를 간직한 씨족마을입니다. 또 하회마을은 자연에 순응하며 서로 교감하고자 한 우리 민족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상호이해와 소통을 통해 흐트러짐 없는 건전한 공동체적 삶을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마을 이름을 하회(河回)라 한 것은 낙동강이 ‘S'자 모양으로 마을을 감싸 안고 흐르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1mj1r12000b6lglgaE10B.png

1mj5n12000b6lg4kvED7D.png





한여름 밤이면 하회의 선비들은 부용대 앞 강가에 배를 띄우고 품격과 운치가 있는 시회를 즐겼습니다. 강가에 배를 띄우고, 자연을 벗삼아 서로에게 술잔을 건네고, 시가 보태어지고, 흥이 절정에 오르면 선유줄불놀이가 펼쳐집니다.

숯가루와 소금을 섞어 넣은 봉지를 새끼줄에 매달아 그 줄을 강물 위에 길게 드리워지도록 내리고, 불을 붙이면 폭죽이 터지듯 불꽃이 시작되고, 바람이 불 때마다 불꽃비가 한없이 백사장으로 내립니다.

배 안에는 시 한 수가 만들어지고 강가에 모여 있던 사람들이 ‘낙화야’라고 외치면 그 소리에 맞춰 부용대 절벽 위에서 소나무 줄기를 뭉쳐 만든 큰 불덩이가 절벽을 타고 떨어집니다. 시뻘건 큰 불덩이는 산산이 부서지며 흩어지고 이 장관 앞에 저절로 불멍이 되고, 힐링이 됩니다.


1mj5i12000b6lpw3yCD8F.png

1mj1k12000b6lhyj98217.png

1mj2212000b6lpoqcC1B5.png




낙동강을 감싸듯 하는 산세와 댐으로 이루어진 울타리 같은 지형 속에 있습니다.

월영교는 이런 자연풍광을 드러내는 조형물이지만, 그보다 이 지역에 살았던 이응태부부의 아름답고 숭고한 사랑을 오래도록 기념하고자 했습니다. 먼저 간 남편을 위해 아내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한 켤레 미투리 모양을 이 다리 모습에 담아 그들의 아름답고 애절한 사랑을 영원히 이어주고자 하는 조형을 다리에 담겨 있습니다.


1mj4a12000b6lq460870C.png

1mj2112000b6lq2xv347D.png




월영교에서 즐기는 낭만적인 배 체험


문보트와 황포돛배 체험으로 즐겁고 낭만적인 체험이 가능합니다. 여유있게 강물을 따라 이동하며 휴식의 시간을 즐길 수 있습니다.


1mj3512000b6lr2ud1B6C.png

1mj5k12000b6lqwnwF200.png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7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보백당 김계행 공의 정자로 연산군 시기 건립하여 유지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스터 선샤인에 배경이 되며 아름다운 풍광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안동 구시장 안에 위치한 찜닭골목에는 찜닭집 30여 곳이 몰려 있습니다. 안동의 찜닭은 400도의 불에서 10여 분간 졸이고 진간장으로 간을 해 당근, 감자, 양파를 넣어 푹 익혀 국물이 찐득해지면 시금치, 대파, 당면 등을 넣어 한 번 더 익혀 냅니다. 안동찜닭은 매콤한 맛과 달콤하면서도 간간한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1mj4j12000b6lr47s5796.png









1mj5p12000b6ls9hq557A.png

Contact Center <br>of the year 2024
Contact Center
of the yea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