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r.trip.com/moments/detail/daejeon-21419-129405446
모두의좋은삶대한민국
levelIcon세미 마스터 여행자

대전 근현대 전시관 입니다.

대전 근현대 전시관 입니다. 대전은 조선시대 회덕현, 진잠현, 공주목 일부가 합쳐진 곳으로 지금처럼 하나의 공간적 질서를 가진 곳이 아니었다. 대전이 공식적인 지명으로 본격 등장한 것은 갑오 개혁기인 1895년(고종 32)경 회덕군 아래 대전리 라는 말단 행정 구역 으로 정식화된 것이 최초라 할 수 있다. 철도는 근대의 상징 이었다. 식민과 수탈의 도구였다는 명백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철도가 가져온 세상의 변화는 매혹적인 것이었다. 1898년 경부선 철도 부설권을 따낸 일제는 1901년 8월 서울 영등포와 부산 초량에서 각각 기공식을 갖고 역사적인 경부선 철도 공사를 시작 했다. 1905년 을사늑약을 전후해 경제•문화적 힘을 키워 국권을 회복하자는 애국계몽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대전에서도 이를 위한 국채보상운동과 사립학교 설립운동이 전개 되었다. 국채보상운동은 대구에서 시작된 만큼, 경상도가 가장 활발 했다. 그러나 충청도 역시 이에 못지 않았는데, 실제 모금소의 수는 경상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 였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서구 용촌동인 진잠군 하남면 미림리에서 박시양, 박제봉, 오신근 등이 운동을 주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0년 국권을 완전히 빼앗은 일제는 회덕에 있던 군청을 대전역 부근 으로 옮겼다. 식민통치를 펼치기에는 조선의 전통적 질서가 강하게 남아있던 회덕이 부담스러운 공간 이었기 때문 이었다. 군청의 이전과 함께 대전역 과 주변 시가지 일대는 도시화가 더욱 가속화 되었다. 그러나 그 주변은 일본인들이 들어오기 전에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았던 한촌시으로 전통의 파괴라 할 만한 것들은 크지 않았다. 1919년 대전의 첫 3•1만세운동은 3월 3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대규모 집회로 이어진 것은 3월 하순 인동장터에서였다. 지금의 인동시장이 된 인동장은 5일장으로, 그날도 많은 사람이 모인 장날 이었다. 초기 시위를 주도것은 김창규와 김정철 이라는 인물이 었는데, 이들은 장터에서 독립을 주장하는 일장연설을 하고 모인 이들에게 태극기를 나눠주며 만세운동을 독려하였다. 이에 김완수, 김완봉, 조상련 등 군중 수백명이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일제에 거세게 항거 하였다. 1926년 동구 효동에 군시제사대전공장이 문을 열었다. 대주주는 일본의3대 재벌에 하나였던 '미쓰이'였다. 미쓰이사의 군시제사(주)는 대전은 물론, 대구와 청주, 대만에까지 공장을 가지고 있었다. 대전공장의 부지면적은 26,750평, 건물은 5,085평, 제사기가 400대, 종업원은 약 600명, 연간 조업일수는 344일이었다. 생산량으로는 1930년대 기준 전국 생산량의 5%, 대전·충남의 65% 가량을 차지했다. 조업원은 대부분 18세 이하의 미혼 여성들로 대전•충남은 물론 멀리는 개성 에서까지 전국적으로 모집 했다. 한국전쟁기 대전이 겪은 최대의 비극은 대전형무소와 동구 산내 곤룡골에서 자행된 대규모의 민간인 학살 이다. 대전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재소자들과 대전 인근 지역 에서 예비 검속된 국민보도연맹원 등을 대상으로 6월 28일과 7월 17일 사이에 이루어진 학살은 아직까지 누구의 명령에 의한 것인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때 국군의 헌병과 경찰에 의해 산내면 낭월리 곤룡골에서 희생된 민간인의 수는 최소 1,800여명, 많게는 7,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 되고 있다. 한국전쟁 기간 중 치열한 격전지였던 대전은 그 어느 도시보다 피해 역시 컸다. 폭격으로 인해 시가지 대부분이 파괴 되었고, 대규모 민간인 학살 등 정신적 상흔 또한 깊었다. 그러나 휴전과 함께 대전시민과 대전을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삼은 피난민들은 빠르게 대전을 복구해 냈다. 1955년 대전문화원에서 발행한 『약진대전사진보는 바로 그러한 대전시민들의 의지와 성과를 담고 있는데, 당시 대전문화원장 이었던 장균은 발간사에 '다시 도시를 복구 하고 약진 하는 대전의 모습을 기록을 남기기 위해 이 사진집을 만들었다.'고 적었다. #국내여행 #여행계획 #2월여행지원금이벤트
작성일: 2025년2월19일
확인
0
해당 게시물에서 언급됨
관광명소

대전근현대사전시관

5/5리뷰 1개 | 박물관
대전
더 보기
더 보기
관련 트립 모먼트
대전근현대사전시관

능소화로 가득한 고택느낌 대전감성카페 홍연

연필선인장
대전근현대사전시관

대전 영화속에 나온 그 곳

민제로
poi-tag-icon
Daejeon

대전광역시 중구 3.8 민주 의거 기념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
한밭교육박물관

대전 광역시 한밭 교육 박물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
대전시립박물관

대전광역시 시립 박물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
충남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대전광역시 충남 대학교 대덕 캠퍼스 자연사 박물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
대전시립미술관

대전광역시 시립 미술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
이응노미술관

대전광역시 이응노 미술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
지질박물관

대전광역시 지질 박물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
화폐박물관

대전광역시 화폐박물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
국립중앙과학관

대전광역시 국립 중앙 과학관 한국 과학 기술사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
국립중앙과학관

대전광역시 국립 중앙 과학관 자연사관 입니다.

모두의좋은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