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난성 융저우시 링링구 소수이강과 샹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링링고성은 후난성은 물론 중국 남부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 유산을 자랑하는 고대 도시 중 하나입니다. 링링고성이라는 이름 자체에도 깊은 역사가 담겨 있습니다. "링링"이라는 단어는 고대 전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순제(舜帝)가 남행 중 순사(后行) 중 사망하고 장례를 치른 것과 관련이 있다고 전해집니다. (링은 황제의 무덤을, 링은 눈물을 의미하며 슬픔을 표현합니다.) 2천 년이 넘는 세월 동안 링링고성의 역사적 변화는 마치 생생한 서사시와 같습니다.
1. **기원 및 건국(선진-한나라):**
* **진나라의 군현 설치:** 기원전 221년,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후, 군현제를 시행하고 공식적으로 **링링현**을 설치했습니다. 이것이 "링링"이라는 행정 명칭의 시작입니다. 원래 현청 소재지는 현재 광시성 취안저우(泉州) 셴수이향(玄水鄕) 일대였습니다.
* **한나라 천도 및 현청 소재지:** 한나라 무제 6년(기원전 111년), 남악(南樂)을 평정한 후, 링링 현청 소재지를 광시성 취안저우(泉州)에서 융저우시 링링구(尹州市, 취안링 후국(泉陵厚國) 소재지)로 이전했습니다. 이는 **중요한 사건**으로, 오늘날의 링링 고성이 공식적으로 지역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음을 알리는 사건으로, 2천 년 이상 후난성 남부의 중요한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한나라 시대에 링링 현은 매우 넓은 관할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후난성 남부와 광시성 북부 지역 거의 전체를 포괄했습니다.
2. **발전과 번영(삼국시대 위, 진, 남북조 - 수, 당):**
* **삼국 간의 갈등 지역:** 영릉현은 중요한 지리적 위치(유명한 "영릉 전투")로 인해 위, 촉, 오 삼국이 치열하게 경쟁했던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습니다. * **군(郡)의 발전:** 위, 진, 남북조 시대에 행정 구역의 명칭과 범위가 조정되었습니다(예: 수나라 때 영주총독부로 변경되었고, 당나라 때 "영주"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제정됨). 그러나 영릉고성 일대는 영릉의 핵심 지역을 안정적으로 유지했습니다.
* **성 건설:** 당나라 영주 태수였던 장주는 대규모 **토성**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이로써 고대 도시의 형태가 형성되었습니다.